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장품
- Adele
- 발췌독
- Celine Dion
- 들뢰즈
- Judith Butler
- 페미니즘
- 니체
- 유희열의 스케치북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이소라
- Whitney Houston
- 섹슈얼리티
- 푸코
- Beyonce
- Live
- 권여선
- Medley
- 윤희에게
- Althusser
- ISA
- 북리뷰
- 정신분석학
- 그린비
- 김연수
- 라캉
- 이상문학상
- Grammy
- I Will Always Love You
- 북프리뷰
- Today
- Total
목록쓰기 (69)
Acknowledgement
요즘 디자인의 특허권, 복제 논란 등이 많은데...어떻게 보면 20세기 이후 21세기에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스마트폰을 네모낳지 않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글쎄다..그런 스마트폰을 써줄 사람은 얼마나 될까? 갤2가 나왔을 때 투박하고 네모난 모양새에 불만을 갖는 사람들보다는 그 투박하고 거대한 화면 자체를 마음에 들어하는 사람들이 더 많았다. 스마트폰은 이미 기기로서의 아이덴티티가 기계의 모양에만 있지 않다(물론 기계의 모양에 아이덴티티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것(스마트폰)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어떻게 정보를 보여주고, 이용하게 하는 것인가가 더 중요하지 않은가? 이런 역할을 수행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모양새는 누가 뭐래도 사각형이다. 그리고 화..
-섹슈얼리티와 정치 섹스/젠더/섹슈얼리티에 있어서 본질주의와 구성주의의 문제를 짚는 것으로 먼저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앞으로 난 이 글에서 본질주의와 구성주의의 의미를 모두 섹스/젠더/섹슈얼리티에 관련된 의미, 곧 성 정치학에 관련된 용어로 사용할 것이다. 먼저, 성에 본질을 상정하는 입장은 초기 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전에 여성은 어떠한 '특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정치적 분야에 기용되어서는 안 된다. 혹은 논리적이지 못하고 공직의 자격이 없다는 식으로 여성의 능력을 폄하하는데 주로 이용돼 왔던 리토릭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반면, 이 본질을 중시하는 것은 하나의 구심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컨대 급진주의 페미니스트 중 일부는 여성적 특질을 (이러한 용어가 허용된다면) 특권화하고 그렇게..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시즌 2의 기념비적인 1편을 감상. 사실 옛날에 봤던 건데 그때는 뭐 먹으면서 봐서 제대로 못 봤다. 아무튼 내용은...아 막장이라 설명하기가 참 어렵네;; 남편이 부실해서 임신을 잘 못 하는 부부. 시험관에 인공수정에 별짓을 다 해도 임신이 안 되자 시댁에서는 뻔히 남편 탓인 줄 알면서도 대리모를 쓰자고 한다. 여기에 빡친 아내는 친언니의 조언을 듣고 대리부를 구하고..대리부의 정자를 써서 임신에 성ㅋ공ㅋ..당연히 대리부는 이런 저런 스펙이 뛰어나고 잘 생기고 집안도 좋고 KBS에서만 존재하는 '한국 대학교' (a.k.a. 천하대학교 or 서울대학교) 출신의 의대생. 뭐 저렇게 잘난 애가 왜 대리부 알바를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넘어가고. 아무튼 그래서 애를 잘 키우고..
오늘의 화장품 지식; 맨 밑에 세 줄 요약 있음 이 시리즈도 한참 안 썼네..오늘은 광범위하게 우리가 화장품을 고를 때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하는지를 이야기해보고 싶네요 일단 제가 화장품 리뷰에 있어서는 정말 최고의 전문가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폴라 비가운은 다음과 같은 기준들을 듭니다. (이건 스킨케어 기준이고 메이크업은 또 다른 기준이 6갠가 있음) 1.Given the ingredient list, and based on published research—not just on what the cosmetics company wants you to believe—can the product really do for you what it promises? 전성분표와 발표된 자료들을 통해 (화장품 회사가..
* 이건 전혀 학술적이지 않은 단순한 내 상상 및 억측과 편견에 뿌리를 두고 있는 생각입니다. 새삼 현대 사회에서 인간을 종교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마지막 단서가 인간의 인간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간은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을 믿지 않는다. 혹은 못한다. 우리에겐 '다시다'라는 조미료가 있다. 이 조미료는 마법의 가루라서 국 한 솥에 한 티스푼만 넣어도 국의 맛을 감칠맛 나게 변화시킨다. 그리고 우린 이 다시다가 몸에 안 좋으며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성실한 주부의 미덕이라는 이야기를 쉽게 접하곤 한다. 그러나 정말 우리가 사용하는 조미료 중에서 가장 유해한 것이 다시다일까? 내가 알고 있기론 고춧가루, 소금, 후춧가루 등이 다시다보다 유해한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