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이소라
- 김연수
- Judith Butler
- 그린비
- ISA
- 윤희에게
- Medley
- Live
- 니체
- 라캉
- 정신분석학
- 북리뷰
- 푸코
- 권여선
- Adele
- 유희열의 스케치북
- 페미니즘
- Beyonce
- 이상문학상
- 발췌독
- 화장품
- 북프리뷰
- 섹슈얼리티
- Whitney Houston
- Althusser
- Grammy
- I Will Always Love You
- 들뢰즈
- Celine Dio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exaulity (1)
Acknowledgement

Sedgwick, Eve Kosofsky. “A Dialogue on Love.” Critical Inquiry, vol. 24, no. 2, Jan. 1998, pp. 611–31, https://doi.org/10.2307/1344181. pp. 611–13 환자 (1992) 명백하게도 나는 환자가 되고 싶다. 섀넌은 "환자가 아니라 내 내담자(clinet)이라고 불러야 해요"라고 말하면서도 "대학원에서 그렇게 배웠는데 바꾸기엔 너무 번거로운 것 같아요"라고도 말했다. 게다가 자는 환자(patient)가 좋다. 인내심이 많은(patient) 편이기도 하고 말이다. 섀넌도 그 말을 좋아하니, 환자라는 단어가 나를 멀리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환자가 겸손한 단어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행복해지기를..
카테고리 없음
2023. 3. 5. 1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