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Live
- 윤희에게
- 라캉
- Grammy
- Whitney Houston
- 북리뷰
- 들뢰즈
- 유희열의 스케치북
- 이소라
- 니체
- Medley
- 정신분석학
- 푸코
- 북프리뷰
- 권여선
- 페미니즘
- 발췌독
- Judith Butler
- Celine Dion
- Beyonce
- 그린비
- ISA
- Althusser
- I Will Always Love You
- 화장품
- 김연수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섹슈얼리티
- 이상문학상
- Adel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시민권 (1)
Acknowledgement

1/ 이 글은 이창래의 소설 (정영목 역, 2003/2015[1995])에서 반복되는 삼각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헨리 파크와 존 캉 사이에 교환되는 애정의 모양을 살핀다. 부자관계, 부부관계, 혈연, 기억, 꿈, 희망, 좌절, 그리고 무엇보다 언어(말)와 같은 이 소설의 주요 주제는 애정의 교환 속에서 구체화된다. 애정이란 항상 어느 정도는 성적인 것이다. 2/ '애정이 정말로 성적인 것인가?'라는 질문은 사실 '무엇이 현재 상황에서 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가?'라는 질문을 함의한다. 이 소설의 플롯 속에서 성 에너지는 어떤 대상에 대한 캐릭터의 욕망 혹은 애착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헨리가 릴리아를 욕망하는 이유와 존에 대한 애착을 버릴 수 없는 이유는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에 대한 여러 비평은 헨리..
읽기/읽기_독서
2020. 6. 10. 00:14